검색
색인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
출처 : ICT시사용어300(2012)
이동통신망을 가진 사업자(MNO)로부터 설비를 빌려 통신상품을 가공한 뒤 이윤을 붙여 되파는 사업자.
이동통신 재판매(resale) 사업자’로 이해할 수 있다. 정책 당국은 MVNO이동통신 시장을 활성화할 촉매로 쓴다. 시장에 서비스 공급자를 늘려 경쟁을 자극하려는 것. 궁극적으로 MVNO를 이용해 이동통신 요금을 끌어내리는 게 목표다. 한국 통신정책 당국도 SK텔레콤·KT·LG유플러스로 고착한 이동통신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MVNO 제도를 도입했다. MVNO 성공 관건은 ‘얼마나 싼 상품(서비스)’을 제공하는지다. 싼 이동통신 서비스를 팔려면 MNO(Mobile Network Operator)로부터 망 설비를 최대한 싸게 빌리는 게 열쇠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MNO는 MVNO에게 망을 빌려 주는 것보다 직접 이동통신 상품·서비스를 파는 게 수익 창출에 유리한 구조를 지녔다. 특히 MVNO가 활성화할수록 MNO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게 마련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MNO는 MVNO에게 아예 망을 빌려 주지 않거나 비싼 임대료를 요구하기 일쑤다. 정책 당국은 이 같은 시장 진입 장벽을 없애기 위해 MNO에게 망 개방(임대) 의무를 부여한다. 망을 도매로 제공할 기준(대가)을 강제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이동통신 시장을 지배하는 SK텔레콤이 망을 반드시 도매로 제공해야 할 사업자로 지정됐다. MVNO를 시장에 도입하면 이동통신 부가서비스 제공과 이용이 활발해지는 효과도 있다. 젊은이를 겨냥해 기능을 특화한 MVNO 데이터 서비스가 싼 가격에 대중화하는 흐름이 형성될 개연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