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색인
비디오텍스, videotex
TV 수상기에 전용 어댑터를 부가한 것이나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자 측의 단말로 하고, 정보 센터의 컴퓨터를 전화 회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센터의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TV 수상기나 PC 화면에 문자 및 도형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의 국제적 명칭. 문자와 도형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미국의 나플프스(NAPLPS), 유럽의 셉트(CEPT), 일본의 캡틴(CAPTAIN) 등 3가지 방식이 ITU-T에 의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비디오텍스는 1979년 영국에서 개발되어 프레스텔(Prestel)이라는 이름으로 상용화되었다. 1980년대 초에 각국에서 독자적 이름으로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프랑스의 텔레텔(Teletel), 독일의 빌트쉬름텍스트(Biltschirmtext), 캐나다의 텔리던(Telidon), 일본의 캡틴(CAPTAIN) 등이 있으나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었다. 프랑스에서는 텔레텔을 사용하여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실시하며, 미니텔(Minitel)이라는 소형 간이 단말을 무료로 전화 가입자에게 공급하는 등으로 비디오텍스의 적극적 보급에 성공하였다. 최근에는 공중망을 이용하지 않고 전용선이나 구내 회선, 구내 정보 통신망(LAN)을 사용하여 기업 내 또는 특정 집단 내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설 비디오텍스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문자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저가격화를 꾀하는 아스키(ASCII) 비디오텍스, 비디오 디스크와 결합해서 동화(動畵) 정보를 제공하는 고도화 비디오텍스 시스템도 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