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나 개인이 자기 데이터의 소유 범위와 사용 방법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는 권한.
데이터 생산자들의 데이터 소유와 사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데이터 주권에 대한 개념이 대두하였다.
데이터 주권은 국가와 개인이 생성한 데이터에도 소유권을 포함하여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소수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에 의해서 사용자들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사용이 독점되면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018년부터 시행한 EU
개인정보보호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필두로 미국 캘리포니아의 CCPA(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중국의 사이버보안법 등 각국이
정보 주체의 권리 강화와 자국 데이터 보호를 위한 법령을 발표하였다.
데이터 주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분산
식별자(
DID: Decentralized IDentifiers), 소셜 링크드 데이터(Solid: Social linked data)와 같이 데이터 자체의 소유와
사용 권한을 개인이 지정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