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사용자나 기업체, 기관, 단체 등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업자. 1994년 6월 한국 통신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매년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여 현재는 데이콤, 한국 PC 통신, 
아이네트 기술 등 많은 수의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는 보유 가입자나 콘텐츠 규모 및 라우팅 정보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ISP들 간의 
상호 접속을 매개하여 인터넷의 보편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백본 제공자(
IBP)로서 Core 
ISP, 
Tier-1 
ISP, 
Backbone ISP, Transit 
Service Provider 등올 지칭하기도 한다. 둘째, 개인, 기업, 
CP 등 최종이용자를 모집하고, Core 
ISP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None-core 
ISP로서, 
Tier-2 
ISP, 
Downstream ISP 로 지칭하기도 한다. 
ISP는 
IBP와 None-core 
ISP의 겸업이 가능하다.